챗GPT가 추천해준 코스탁 주식종목 6개 리스트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네이버
카카오
미래에셋증권
엔씨소프트
(서울신문. 2023년 4월 6일 기사 중)
챗GPT는 21년까지 정보를 기반으로 두고있다.(유료, 무료 모두동일 현시점)
이 종목에 과연 투자를 할수가 있을까?
챗GPT 로 인해 아이폰같은 혁명이 올거라고?
이전에도 검색을 하고 답을 찾았다.
완성형 답을 해주는 챗GPT의 오류. "환각"이라고 말하는데, 대답에서 오류를 없는지 확인할려면,
시간이 더 걸릴수 있는 있다.
이런 오류가 나온 경험들 많을것이고, 맞는지 확인하는 일은 다시 시간을 쓰는 일이다.
극도로 보수적 투자 리스트는
KT&G
SK텔레콤
삼성생명
KB금융
국고채투자
(서울신문. 2023년 4월 6일 기사 중)
(국고채.. 김진태가 생각나는데..ㅜㅜ 아. 21년 자료인거지 ㅎㅎ)
를 추천했다고 한다.
돈을 버는것도 중요하지만 손해봐서 마이너스가 되는 일이 되지않게 조심해야하기 때문에 '조금 벌더라고 손해안볼거 같은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럼 이 종목들은 투자를 할수 있을까?
역시 21년 정보 기반이라 다시 불신이 돈다.
전문가들에게 물었다며 위 리스트에 대한 전문가로써의 의견들 인터뷰,
그리고 미국에선 투자 AI를 통한 수익이 높아 트레이더들이 많이 줄었다는 내용.
컴퓨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주식을 자동으로 사고 파는 ‘로보어드바이저’ ?
귀에 잘 안들어오지만, 로보어드바이저는 궁금해졌다.
위 종목들을 공격적 투자는 아니니, 분산투자로 살까?
장기적인 투자생각하며, 배당금도 받고.
사실 부동산으로 돈 버는게 가장큰 우리나라에서
나는 주식이나 코인을 여유돈 하고있다. 그래서 오르면 기분이 좋고 떨어져도 크게 불안하지 않다.
우량주나, 비트코인처엄 안정적이라고 생각한걸 샀고 회복되겠지 하는 마음이 있다.
공격적인 투자는 항상 주시하고 해야하고, 언제 팔지 결정해야 하기때문에 집중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다른 일은 잘 돌보기가 어렵다.
직장에서 일하는중에도, 퇴근후에도, 밥을 차리고 있는 중간에도 폰을 보고 확인하고 좀 있다가 또 궁금해지고.
공격적인 투자는 어쩔수없이 중독이다.
카페에서 썸도 만나고, 친구들과 술도 마시고, 어른놀이도 해야하고,
사람들과 채팅도 해야하고, 작업도 해야하고, 옷도 사야하고, 할게 넘 많은데
하고싶은거 하고, 해야할거 하고
그래서 저 투자리스트가 더 맞는 개인 투자리스트 인것같다.
챗GPT의 결과가 기득권들의 입김의 뉴스들도 포함된 리스트겠지만,
그만큼 그들은 잃지않고 유지하고 더 많은 돈을 벌려 할것이기에 그런점은 투자의 신뢰성의 관점으로는 점수를 줄수 있는것 같다.
참고로
Bing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비슷하게 검색했는데
해당되는 뉴스를 찾아줄뿐
챗GPT 같은 완성형 답을 주지는 않는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몬지 좀 찾아보고,
"챗GPT" 에 대한 생각은 다음에 쓸테니 기대해주세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