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전에 본 대학생들의 79프로가 아르바이트중 또는 아르바이트 할 계획이 있다는 뉴스..
고물가 시대에 공부하면서 어쩔수 없이 돈을 벌어야만 하는 2023년 3월 현재
자료 찾아보다 알바천국 리서치 결과를 보니(1812명 설문)
2학기 아르바이트를 할것이다 - 89.5프로
그이유는
용돈이 부족할거 같아 스스로 벌기위해서 - 약 72프로
물가인상으로 생활비가 부담돼서 - 약 34프로
여행, 콘서트 등 문화 여가비용 마련 - 약 28프로
학기중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 약 20프로
즉 물가급등으로 인해 그 만큼 용돈을 받는게 미안해지고, 식비 한끼 만원시대이기 때문에 학기중에도 아르바이트를 하겠다는 것이다.
물가인상을 가장 체감하는 요인(복수응답)
외식, 배달음식, 식재료 등 식비관련이 91%
의류, 신발, 미용 등 품위유지비 45%
영화, OTT구독등 문화생활비 45%
통신비, 교통비등 생황비 30%
전월세 자금, 공과금등 주거비 18%
먹는 비용이 가장 부담스럽다는 거고 일선으로 뛰어나가야 하는 공부하는 학생들..
대학을 가는 이유는
다들 가기 때문에,
더 좋은 직업을 얻기위해,
어느 분야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하고 싶기에
로 나눠볼수 있을것 같다.
다들 가기 때문에 경우는 나처럼 군대 다녀와서 복학보다는 연애 하고싶어서, 그럴려면 돈 벌어야해서 중퇴하는 경우도 많을려나? 아닐수도 있고.
하지만 이렇게 돈걱정하며 공부해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들 가기때문에" 가는 경우는 대학가는 사람들이 줄어들지 않을까?
솔직히 되고 싶은 직업일뿐이지 이게 삶의 목표, 꿈은 아니지 않나?
그냥 남들보기 좋은, 살아가는 돈을 버는 거 일뿐이지,
다른 돈 더 많이 번다면 다들 직업 바꿀생각이 많지 않나?
돈 많으면 부자되고, 돈 없으면 겨우겨우 살아가고 이게 자본주의 아닌가?
한끼 밥먹기도 부담스러워진
고물가 시대.
아껴야 하는 데, 다들 아끼면 경제순환이 안될텐데.. 나도 이웃도 모두 가난해지는데...
좋아하는 친구들, 선후배들과 같이 시간 보내야 하는 비용은 어쩔수 없는 지출이라 생각하고,
혼자 할수 있는 식비를 줄여서 편의점음식으로 때우는 지금 대학생들... 직장인들도 마찬가지겠지?.
물가를 잡는 방법이 있을텐데
왜 하지말라는건 열심히 하면서, 해야하는건 손놓고 있는거지? 윤석렬, 김건희?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주 4일인 나라들은 어디? 우리나라도 5년안에 주 4일 근무가 될까? (0) | 2023.03.30 |
---|---|
일본에게 진정한 사과를 바라는건, 과거문제가 아닌 미래세대를 위한 약속!! (0) | 2023.03.17 |
세계는 주4일 시대. 그런데 69시간? 60시간? 국민을 뭘로 보는거지? (0) | 2023.03.16 |
어디까지 올라가니? ㅠㅠ 도시가스비 절약하기(실제경험) (0) | 2023.03.12 |
3.1절 빨간날. 그리고 일본으로 부터 독립을 하겠다고 선포한 날 (0) | 2023.03.01 |